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[그것이 알고싶다] 당신의 어깨가 아픈이유? - TOS ; 흉곽탈출증후군 -
    #체형교정운동 2019. 12. 11. 20:04

    안녕하세요 :)

    오늘 이야기 해볼 주제는 어깨결림, 손 저림 증상을 야기하는

    Thoracic Outlet Syndrome (TOS : 흉곽탈출증후군)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볼까 합니다! :)

    1. 흉곽탈출증후군(TOS)이란?

    흉곽탈출증후군을 인터넷에 검색하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!

    상완신경총(上腕神經叢)을 형성하는 제4경추부터 제1흉추의 신경근과 종격동(mediastinum, 가슴의 중간 양쪽 폐의 사이에 있는 공간)으로부터 나오는 쇄골하 혈관은 제1늑골과 쇄골 및 견갑골 상연이 형성하는 삼각공간을 지나간다. 이 삼각 부위를 흉곽출구라고 하며 흉곽출구 부위에 지나가는 신경과 혈관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압박되어 나타나는 증상을 흉곽출구증후군이라고 한다.

    [네이버 지식백과] 흉곽출구증후군 [thoracic outlet syndrome] (자생한방병원 한방의학정보)

    우와... 첫 줄만 읽어도 너무 어렵네요

    한국말인가요...?ㅎㅎ

    라고 하시는 분들 계실텐데요

    풀어서 찬찬히 읽어보면 어렵지 않습니다!^^

    제가 하나하나 풀어서 설명해드릴게요~

    위의 사진은 인간의 몸 중에서도 갈비뼈 1번2번과 쇄골뼈 사이를 더 자세히 그려놓은 사진입니다!

    그림과 같은 부위에 상완신경총 (brachial plexus)이라는 신경다발과 동맥, 정맥이 지나가게 되는데요

    이 신경 다발과 동맥, 정맥은 뇌까지 바로 이어지게 되므로

    만약 이 부분이 어떤 이유로 좁아지게되어 눌리게 된다면

    어지러움이나 손 저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될 수 있습니다.

    인간의 몸은 안 쪽에 뼈대가 세워져 있지만

    그 주위를 혈관, 신경, 근육 등 다양한 구조물들이 감싸고 있습니다.

    만일 이러한 구조물들이 잘못된 자세 등 타이트해지고 뻣뻣해지게 된다면

    뼈와 뼈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 심할 경우 신경이나 동맥, 정맥 등을 눌러

    이상 증세가 나타날 수 있게 되는 것인데요~

    그럼 본인이 TOS인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?

    손쉽게 따라하실 수 있는 몇 가지 자가검사법이 있습니다.

    scalene m.과 pectoralis minor m.은 TOS에서 중요합니다.

    2. 자가 검사법

    1) Roos test

    위 사진과 같이 팔꿈치를 90도로 구부리고 그대로 팔꿈치를 살짝 뒤쪽으로 보내줍니다.

    그 상태에서 3분간 주먹을 쥐었다 폈다 반복합니다.

    저림이나 이상감각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TOS 양성입니다.

    2) Upper Limb Tension Test

    정석대로라면 누워서 진행해야 하지만, 종종 앉아서나 서서도 진행할 수 있습니다.

    사진과 같이 손을 뒤쪽으로 쭉 뻗습니다. 이때 손바닥은 천장을 향해 뒤집어줍니다.

    손등을 몸쪽으로 꺾은 상태를 유지하시고

    시선을 사진처럼 손과 반대방향으로 돌려줍니다

    이 때, 저림이나 통증이 발생하는지 관찰합니다.

    그리고 다시 시선을 손이 있는 쪽으로 돌렸을 때 저림이나 통증이 사라지는 지 체크합니다.

    고개를 반대방향으로 돌렸을 때 저림이 생겼다가 고개를 돌림과 동시에 사라지면

    TOS 양성입니다.

    3. 스트레칭

    TOS에서 중요한 근육은 두가지입니다.

    소흉근(Pectoralis minor muscle)과 목갈빗근(Scalene muscle) 입니다.

    이 두 근육을 풀어주면 어느정도 증세는 호전되실 수 있습니다.

    1) Pectoralis minor stretching

    이 근육은 대흉근 (pectoralis major) 아래에 있는 아주 작은 근육이지만

    그 기시와 부착점 때문에 흔히들 라운드 숄더의 원인처럼 이야기되기도 합니다.

    정확하게 이 근육을 풀어내기 위해서는 손으로 촉지하여야 하지만,

    집에서 혼자 스트레칭 하시는 분들께서는 여의치 않은 경우에

    대흉근과 함께 스트레칭을 진행하시면 됩니다.

    위 동작에서처럼 한 손을 벽에 걸치고 몸통을 돌려낸다는 느낌으로

    어깨 앞쪽을 늘려줍니다. 3~5회 반복합니다.

    2) Scalene muscle stretching

    Scalene muscle은 다음과 같이 목에서 갈비까지 붙어있는 근육으로,

    호흡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이 곳이 짧을 경우

    컨디션 저하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
    근육이 굳기 전에 틈틈히 스트레칭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!

    스트레칭 할때는 항상 고정점과 늘리는 점을 단단히 고정하셔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주세요!

    사진과 같이 늘리고자 하는 방향의 어깨를 뒷짐지어 고정한 후

    시선을 살짝 천장 바라보면서 턱을 천장쪽으로 갸웃 하며 손으로 머리를 당겨줍니다.

    턱이 천장 쪽으로 올라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
    TOS에 대한 간단한 자가진단법과 스트레칭법을 알아보았는데요~^^

    스트레칭 같은 경우에는 자가로 실시할 수도 있지만,

    동작을 정확하게 시행해주지 않으면 엄한 근육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ㅠㅠ

    정확한 동작으로 스트레칭을 실시하고 계신지 궁금하시다면,

    그리고 본인의 정확한 체형과 현재 컨디션에 대한 진단을 받고 싶으시다면

    언제든지 편히 상담 받으러 방문해주세요 ^^

  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!

     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